일단 가상화는 TYPE1과 TYPE2로 나뉜다.
해당 가상화의 차이점은
하드웨어 위에 바로 가상화 모듈( HYPERVISOR )을 설치하느냐와 호스트 OS를 설치하고 그 위에 HYPERVISOR를 설치하느냐에 따른 차이이다.
WSL의 경우는 TYPE1
우리가 사용하는 오라클 버추얼 박스는 TYPE2
먼저 "Bare"란 보통 "순수한, 아무것도 추가되지 않은" 이런 의미가 있음.
"metal"은 말 그대로 "금속, 즉 하드웨어"를 뜻함
HYPER( 모든 것을, 기존의 것을 뛰어 넘는 ) + VISOR ( 관장하다 ) = 모든것을 관리함.
또한 TYPE1 은 반가상화, 전가상화로 나뉜다. //
전가상화는 모든걸 가상화시킨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자체도 가상화시킴.
하드웨어를 가상화 시켜야댐
만약 인텔CPU위에서 ARM을 가상화시킨다 가정하자.
인텔에서 ARM은 동작방식이 달라서 이진화 시켜서 호스트의 하드웨어에 맞춰 Binary Translation(이진 변환)을 적용해 인식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주어야한다.
이진 변환 : 게스트 OS에서 특권 명령을 수행하려고 할 때 하이퍼바이저가 바이너리 연산을 통해서 하드웨어가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기법
반가상화 ( para-virtualization )= 진보한 가상화 기술
반면 반가상화의 경우에는 하드웨어는 가상화하지 않고 커스텀 커널과 드라이브를 통해 호스트의 하드웨어를 조작한다.
https://mamu2830.blogspot.com/2020/04/blog-post.html
가상화 기술(전가상화, 반가상화, 호스트기반 가상화)쉽게 설명!
가상화 기술(전가상화, 반가상화, 호스트기반 가상화, 하이퍼바이저, 아키텍처)에 대해 매우 친절하고 자세히 설명한 포스트입니다!
mamu2830.blogspot.com
'쿠버네티스,도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정리중 (0) | 2022.10.10 |
---|---|
쿠버네티스 kubeadm을 사용한 설치 시작부터 끝까지. (2) | 2022.10.08 |
쿠버네티스 kubeadm 설치 과정 정리. (0) | 2022.10.07 |
calico 동작 (0) | 2022.10.03 |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0) | 2022.09.21 |